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는 시대, 노년층도 비대면 은행거래 적응 필요해
은행의 영업점포 감소 추세는 향후에도 지속될 전망으로 방문거래를 선호하는 노년층의 어려움은 가중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원활한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는 은행의 고령 금융소비자 맞춤서비스 노력에 발맞춰 노년층의 비대면 서비스 적응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풀이된다.
언택트 사회 속 대면을 선호하는 노년층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통계플러스 봄호’를 보면 청장년층 대비 노년층의 방문거래(57% vs 89%), 방문횟수(5.5회 vs 6.2회), 대기시간(20분 vs 32분)에서 노년층이 은행에 더 많은 시간을 쓴다고 나타났다. 노년층이 겪는 불편도를 돈으로 환산하면 2만 4,600원으로 청장년층(1만 2,200원)보다 2배 이상 높았다.
또한 금융거래 시 방문거래만 하는 노년층(70%)이 청장년층(16%)보다 네 배 이상 많았다. 대부분의 노년층은 거주지 인근에 지점이 없어도 영업점을 찾아 방문할 만큼 대면거래를 선호한다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고령 금융소비자 맞춤 서비스
영업점포 수 감소로 노년층의 디지털 소외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되자, 국내은행은 대면과 비대면 노력을 더해 고령친화 은행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지난달 20일 고령층의 금융 접근성 및 이용 편의성 제고를 위해 서울시 성북구 돈암동에 ‘동소문시니어플러스 영업점’을 열었다. 큰 글씨 메뉴와 쉬운 용어가 적용된 '시니어 전용 ATM'을 배치하고, 노년층 전용 상품인 시니어플러스우리패키지 상품 등 원금보장형 상품 위주의 금융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일반 영업점과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금융위원회가 마련한 ‘고령자 친화적 모바일 금융앱 구성지침’에 따라 국내은행은 순차적으로 자사 금융앱에 고령 금융소비자를 위한 고령자 모드를 도입 중이다. 제일 먼저 선보인 건 IBK기업은행으로 지난해 2월 25일 스마트뱅킹 앱 i-ONE Bank(아이원뱅크)에 고령자 모드인 '쉬운뱅킹'을 도입했다. 기존 여러 메뉴로 복잡했던 시스템이 조회·이체 중심의 간단한 메뉴로 변경돼 고령자의 이용이 편리해졌다.
4년간 폐쇄된 영업점포 수 926개, 은행 비대면 거래 강화
실제로 24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 국내은행의 영업점포(출장소·지점) 수는 5,858개로 2018년 6,784개 대비 926개 줄어들었다. 방문거래를 선호하는 노년층의 바람과는 별개로 국내은행은 은행 문은 굳게 잠길 모양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영업점포 수(1,119개)를 보유한 농협 상호금융과 NH농협 상호금융조차 ▲2018년 12곳, ▲2019년 6곳 ▲2020년 14곳의 영업점 폐쇄 결정을 내렸다. 점포 없이 온라인으로 영업하는 2016년 케이뱅크, 2017년 카카오뱅크, 2021년 토스뱅크가 출시되며 금융산업의 체질이 전환되는 가운데, 이 같은 폐쇄조치는 당연한 절차였다. 노년층의 모바일뱅킹 적응이 필수로 대두되는 까닭이다.
Tip! NH스마트뱅킹 사용법
모바일뱅킹을 사용하기 위해선 먼저 ‘앱스토어’에 접속해 NH스마트뱅킹(주거래은행 앱)을 검색해 설치한다. 이후 계좌를 등록해 공인인증서나 간편 비밀번호를 통해 로그인한다. 메인화면 상단에 큰글 서비스를 클릭하면 한 화면 내 가장 많이 쓰는 기능인 ‘거래내역 조회’와 ‘이체’가 보인다.
각종 금융결제를 원한다면 이체를 클릭하면 된다. 이때 “얼마를 보낼까요?”가 뜨는데 출금가능금액 아래에 맞게 금액을 입력하면 입금계좌 입력이 뜬다. ‘다음’을 클릭해 누구에게 보낼지를 선택할 수 있다. 입금은행을 선택하고 계좌번호를 입력하면 다시 ‘다음’을 클릭한다. 다만 이 경우, ‘최근’과 ‘자주’ 기능을 통해 기존 거래내역으로 거래할 수 있다.
계좌 비밀번호를 네 자리를 적어내고 받는 계좌와 내 계좌를 살핀 즉시, ‘확인’을 선택하면 송금이 완료된다. 이후 받는 분의 편의성을 위해 카카오톡이나 문자메시지, 이메일로 이체내역을 공유해 빠르게 이체 소식을 알리는 기능도 사용 가능하다.
최연지 기자
2023.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