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689
[시니어트렌드2025] 중장년층, 허위정보 우려에도 유튜브 뉴스 소비 ↑
[요양뉴스=김혜진 기자]온라인상 허위 정보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중장년층의 유튜브 기반 뉴스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출처=게티이미지뱅크]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표한 ‘디지털뉴스리포트 2025 한국’에 따르면, 국내 이용자의 55%는 온라인상 허위정보에 대해 우려를 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63%의 높은 수치를 보였던 전년보다 다소 낮아졌으나, 여전히 2명 중 1명은 온라인에서 확인하는 정보가 허위일 가능성에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특히 이들은 연령이 높을수록, 정치성향이 보수적일수록 온라인 허위정보에 대해 크게 우려했다. 20대가 47%의 우려를 표명한 반면, 60대 이상은 73%가 우려를 나타냈다. 정치성향별로는 진보 40%, 보수 74%가 우려를 드러냈다.하지만 이 같은 우려에도 뉴스 소비는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0대(61%)와 60대 이상(53%) 등 중장년층의 유튜브 뉴스 소비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50대의 유튜브 뉴스 이용률은 전년 대비 9%p 상승해 눈에 띄는 증가세를 보였다.한국언론진흥재단은 보고서를 통해 “국내의 모든 연령대에서 유튜브를 통한 뉴스 이용률이 48개국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그중에서도 50대와 60대 이상은 48개국 평균보다 두 배 가까이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며 “한국의 중장년층이 유튜브에 집중된 특징적인 뉴스 소비패턴을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경기도에 거주하는 50대 A씨는 “기성 언론은 똑같은 이야기만 반복하지만, 유튜브에서는 원하는 뉴스를 쉽게 찾아볼 수 있고 짧은 시간 안에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자주 이용하게 된다”며 "거짓 정보를 자주 접하긴 하지만, 주위 지인들도 유튜브를 많이 시청하는 편"이라고 전했다.
김혜진 기자
2025-10-17
57690
[시니어정책추적기] 고령사회, 돌봄은 기술로… 공공 플랫폼 구축 '시급'
[요양뉴스=김혜진 기자] 고령인구 증가 대비 돌봄 인력 부족 문제가 심화됨에 따라, 이를 보완해 줄 ‘돌봄 기술’의 도입이 빨라지고 있다. 국내 정부 및 지자체에서도 고령 인구 증가에 대응하고자 돌봄기술 활용 서비스를 추진 중인 가운데, 독거노인 등 특정 계층을 대상으로 한 제공환경 측면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 맞춤형 공공 플랫폼의 조속한 구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출처=게티이미지뱅크]국내, 고령인구 증가 대비 돌봄 인력 부족…‘돌봄 기술’ 적극 도입 중국내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고령 인구는 2035년에는 전체 인구의 30%, 2050년에는 40%를 넘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을 돌볼 인력은 크게 부족할 것으로 예측된다.보건복지부의 노인돌봄인력 관련 연구용역 결과에 따르면, 85세 이상 인구는 2025년 113만 명에서 2045년 372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2043년까지 약 99만 명의 요양보호사가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이에 따라 현재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돌봄 기술’의 개발 및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정부는 123대 국정과제로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한 내용을 포함, 스마트 돌봄서비스 확충과 관련 R&D·사업화 기반을 마련하고 고령자의 사회적 고립에 대응하는 위기대응시스템 구축 및 운영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지자체도 이러한 정부 정책에 발맞춰 향후 더 다양한 돌봄 기술을 사회서비스 사업에 적극 도입·활용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물론 지금도 돌봄 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추세다. 그중 서울시에서 ▲AI안부확인서비스 ▲1인가구 안부살림 ▲AI안부든든 ▲똑똑안부확인 ▲스마트플러그 ▲취약어르신 안전관리솔루션 등 가정 내 ICT/IoT 기반 돌봄기술을 적용한 서비스 사업으로 가장 활발하게 추진 중이다.독거노인 돌봄기술 제공 환경 한계…사용자 맞춤형 공공 플랫폼 구축 ‘필요’하지만 노인돌봄문제를 해결하기에 기술을 빠르게 도입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서울연구원이 발간한 ‘독거노인 돌봄기술 실표성 증대 위한 돌봄 플랫폼 구축방안’에 따르면, 돌봄기술을 활용한 국내 정부 및 지자체의 사업은 구조적 한계에 직면해 있다.지자체별 서비스를 개별 추진하거나 기능별 참여 기업이 달라 일관된 서비스 운영체계를 갖지 않고, 단발성으로 추진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설령 사업이 지속되더라도 기관마다 돌봄기기의 위기 대응 체계와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각기 운영돼 통합적인 관리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공통되지 않은 서비스 체계를 제공하는 것은 돌봄 대상자들의 불안감을 조장하거나 중복된 서비스 제공하는 등 비효율적인 결과를 초래해 삶의 질 향상에 여하지 못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이를 위해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고도화되는 후속 사업을 시스템 변화없이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며, 대상자별 맞춤형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단 일회성일지라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의 구축이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개인별 맞춤형 돌봄서비스 제공을 가능케 하고, 일회성 서비스에서도 데이터를 수집·축적할 수 있는 체계 마련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변화하는 기술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라도 제조사 중심으로 관리해왔던 돌봄 데이터를 공공기관에서 주체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며 “이를 위한 정보 수립 체계와 수집된 정보를 활용한 돌봄서비스 제공 방안에 대해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전했다.
김혜진 기자
2025-10-17
57684
노년기 금연 ‘치매 발병 지연’ 효과 있다!
[요양뉴스=김혜진기자] 노년기에 금연을 시작해도 치매 발병을 늦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출처=게티이미지뱅크]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이하 UCL) 연구팀이 국제 학술지인 ‘란셋 건강한 장수(Lancet Healthy Longevity)’에 발표한 ‘중년 이후 및 노년기의 금연 전후 인지 기능 저하: 12개국 전향적 코호트 연구의 종단 분석’에 따르면, 금연자는 금연 이후에도 흡연을 지속한 사람에 비해 인지 기능 저하 속도가 더 느리고, 전반적인 인지 기능 경로 또한 더 긍정적인 양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해당 연구는 연구 대상은 금연자 4,718명과 지속 흡연자 4,718명으로, 나이·성별·교육 수준·국가 등 인구통계학적, 사회경제적, 인지적 기준에 따라 1:1로 매칭해 이뤄졌다.연구팀은 금연 시점을 기준으로 금연 전 6년과 금연 후 6년 동안 두 그룹의 언어 유창성과 기억력 변화를 비교 분석했고, 그 결과금연자 그룹은 금연 이후 인지 기능 저하 속도가 흡연자에 비해 유의미하게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특히언어 유창성 저하 속도는 약 50% 감소했고, 기억력 저하 속도는 약 20% 감소해 금연이 6년 동안 최대 인지 노화 효과 기준 약 3년의 인지 노화 지연 효과와 동등한 수준의 이점을 주는 것으로평가됐다.해당 연구팀은 보고서에서 “나이와 상관없이 금연이 인지 기능 보호에 도움이 된다”며, 이번 연구 결과가 노인들의 금연 동기 부여에 새로운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출처Bloomberg, M., Brown, J., Di Gessa, G., Bu, F., & Steptoe, A. (2025, October 13). Cognitive decline before and after mid-to-late-life smoking cessation: Longitudinal 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from 12 countries. The Lancet Healthy Longevity. Online first. https://www.thelancet.com/journals/lanhl/article/PIIS2666-7568(25)00072-8/fulltext
김혜진 기자
2025-10-16
57686
인천 동구, 구립 요양원 건립 '박차'…2027년 상반기 착공 예정
[요양뉴스=김혜진기자] 인천 동구에서 추진중인구립요양원 건립이 지난 1일 인천시 지방재정투자심사를 통과했다.[출처=인천 동구]지방재정투자심사란 지방자치단체가 일정 규모 이상의 공공시설을 만들기 전 필요성,타당성,재정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심사하는 제도로 재정의 낭비를 방지하고,투자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절차다.구는 해당 심사를 통과해 오는 2027년 상반기 착공해 2029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구립요양원 건립을 추진한다.동구 구립요양원은 방축로193(치매안심통합관리센터 내 부지)에 지하1층,지상3층 총면적3천200㎡규모로 지어질 예정이며,일반실87명,치매전담실12명을 포함99명 수용 규모로 건립된다.구는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건물을 건축하기 위해 건축설계 공모를 진행하고 설계안의 적정 반영을 위해 설계자도 참여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해당 요양원 건립에는 총사업비180억원이 투입된다.구는 보건복지부의2025년 노인요양시설 확충 국고보조사업 선정을 통해 국·시비46억원, 2026년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사업 선정으로 기금18억 등 총64억의 지원금을 확보한 상황이라고 밝혔다.김찬진 동구청장은“초고령화 사회를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중증 치매 질환자를 돌볼 수 있는 시설을 적기에 건립하려 한다”며“환자와 가족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공공성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혜진 기자
2025-10-16
57678
“어르신 존엄케어, 민간에선 불가능”…공공 책임 강화돼야
[요양뉴스=김혜진기자]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존엄케어’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그러나 돌봄 인력의 부족과 열악한 현장 여건이 지속되면서, 수면제 처방 논란과 같은 시스템 문제들이 잇따라 드러나고 있는 실정이다.한지희 전국돌봄노동자서비스노조 경기지부장이 기자회견에 참여해 요양보호사의 열악한 현실에 대해 호소하고 있다. [츌처=요양뉴스]이에 현직에서 활동중인 한지희 전국돌봄노동자서비스노동조합 경기지부장은 지난 13일 조합의 돌봄노동자의 처우개선을 위해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주위에서는 어르신의 존엄한 돌봄을 끊임없이 이야기하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요양보호사 1명이 20명에 가까운 어르신을 감당하고 있다”며 현재 상황으로는 존엄케어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존엄케어란 개인의 존엄성 존중을 위해 개별적 특성을 파악해 필요한 돌봄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신체억제·기저귀 미사용, 일상생활 지원, 목욕·체위변경 등이 대표적인 존엄케어의 사례에 해당하는데, 이러한 돌봄은 담당 요양보호사의 노동을 필요로 한다. 즉, 존엄케어는 요양보호사의 노력 여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문제는 요양보호사가 사명감을 갖고 업무를 진행하기에 처한 현실이 너무 열악하다는 데 있다.그는 “지난밤 병원에 입소한 대상자로 인해 일자리를 잃게 된 방문재가 요양보호사가 있다”며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일자리를 잃고, 조금씩 올라가던 수당마저 받을 수 없고, 퇴직도 제대로 받을 수 없는 것이 요양보호사의 현실”이라고 꼬집었다.그는 현실적으로 최저임금에 시달리는 요양보호사의 임금 문제를 민간에서 해결할 수 없다고 내다봤다사회서비스원이나 시립에서 근무해야 수당을 더 받을 수 있을 뿐, 현실적으로 민간에서는 노조를 하거나 존엄케어에 대한 이야기를 하게 되면 해고당한다는 설명이다. 요양보호사들이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요양원의 증설을 바라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그는 “돌봄의 공공성 강화, 돌봄 사회화 등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데, 돌봄의 주체 당사자들이 고용 불안정에 시달리는 한 존엄케어는 절대로 불가능하다”며 “돌봄노동자의 고용안정과 근본적인 처우개선 등 실질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혜진 기자
2025-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