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군·합천군, 2명 중 1명은 노인인데 A등급 재가기관은 0곳
[요양뉴스=최연지 기자]초고령 사회를 맞이한 시군구 지자체의 ‘노인 돌봄’이 위기에 놓였다. 노인이 재가와 지역사회에서 계속 거주할 수 있도록 돕는 요양시설의 서비스 질을 담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고령인구비율 상위 5개 지역. [자료= KOSIS, 가공=요양뉴스]
13일 KOSIS(국가통계포털)이 내놓은 ‘고령인구비율’ 집계에 따르면 시군구 지자체 24개 지역이 고령인구비율 40%를 넘겼다. 고령인구비율 상위 5개 지역2명 중 1명이 만 65세 이상 노인인 실정이다.
시군구별로 살펴보면 경상북도 의성군이 47.5%로 고령인구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구광역시 군위군이 0.2%P 차이인 47.3%로 2위를 차지했다. 뒤이어 전라남도 고흥군(45.7%), 경상남도 합천군(45.3%), 경상북도 청도군(44.3%)으로 집계됐다.
폭증하는 고령인구를 지원하기 위한 요양서비스가 중요시되는 가운데, 고령인구비율 상위 5개 시군구 지역 내 장기요양기관 평가 결과도 저조한 것으로 분석됐다.
2023 재가급여 장기요양기관 정기평가 결과(2024년 1월 13일 기준 폐업 기관 제외), 대구 군위군과 경남 합천군의 최우수 A등급 기관은 단 한 곳도 없었다. 지역주민들에게는 집과 가까운 시설 중에 우수 시설을 이용할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았다. 아울러 다른 지역 대비 상대적으로 요양시설 수가 많은 전남 고흥군도 96개소 중 A등급 기관은 3개소에 불과했다.
한편 A등급 기관이 0곳이었던 합천군의 경우, 최하위 점수를 받은 E등급 기관이 7개소로 조사됐다. E등급 기관은 올해 말 장기요양기관 지정갱신에 실패하면 폐업할 위기에 처하는데, 이때 재가급여 수급자들의 급여이용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