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 새로운 알림이 없습니다.

일본, 고령층 돌봄 ‘로봇기술’ 도입 박차…국내는?

  • 김혜진 기자
  • 2025-07-08 14:37
  • 댓글 0
스크랩

[요양뉴스=김혜진 기자] 일본이 고령층 돌봄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며, 로봇기술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로봇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정책 지원을 확대하고, 요양 업체들도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추세다.

 

일본, 요양 '로봇기술' 도입 적극 추진…입소형 시설 수요 높아

일본은 2040년 전체 인구의 약 35%가 65세 이상일 것으로 예상되며, 한국과 마찬가지로 요양 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요양 현장의 업무 효율성과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로봇기술과 ICT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요양로봇 등 패키지 도입 모델(개정판 2025년 3월) 표지 [출처=일본 후생노동성]
요양로봇 등 패키지 도입 모델(개정판 2025년 3월) 표지 [출처=일본 후생노동성]

요양로봇의 개발 및 도입은 2013년부터 본격화됐다. 정부는 보조금 지급, 경제적 인센티브 제공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현장 보급을 확대 중이다. 또 요양로봇 상담창구와 리빙랩을 통해 기술 검증과 개선도 병행하고 있다.

하나금융연구소에 따르면, 일본 요양산업에서 로봇기술은 ▲이동보조 ▲배설지원 ▲모니터링 및 커뮤니케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특히 24시간 돌봄이 필요한 입소형 시설에서 수요가 높다.

이러한 기술 도입과 함께, 그간 요양산업의 과제로 지적돼 온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 고령화 대응 속도 역시 더욱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일본 정부는 ‘요양DX(介護DX)’ 정책을 통해 디지털 전환에 박차를 가하는 한편, 증가하는 요양 예산에 대응하기 위해 일부 환자에게 비용 부담을 전가하거나 요양사업자 보상을 축소하는 등의 예산 절감 조치도 병행하고 있다.

 

국내, 로봇기술 도입 시도 확대중…비용 부담에 민간 시설 도입은 "어려워" 

물론 국내도 로봇기술 도입 시도를 확대하고 있다. 보훈복지시설은 시설 직원들의 부담 경감을 위해 올해 1월부터 로봇 보급 사업을 본격 추진에 나섰고, 서울 시립요양원에 시범 운영돼왔던 배설케어로봇은 11곳으로 확대 보급되기도 했다.

하지만 여전히 민간 기업에서의 도입은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 국내 요양시설 대부분이 개인 운영 형태인 만큼, 고가의 장비를 도입하기에는 비용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박지홍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원은 “국내 초고령사회화는 일본보다 더 빠를 것으로 예상된다”며 “초고령사회에서 고령층이 고령층을 돌보는 구조는 불가피해 신체적·정신적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는 만큼 일본의 사례처럼 로봇기술을 돌봄 분야에 적극 도입해 해소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어 “다만 민간 차원에서는 비용 부담과 열악한 현장 여건으로 인해 도입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예산 지원과 함께 요양보호사 양성 과정에 로봇기술 활용법을 포함하는 등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요양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쓰기

일본, 고령층 돌봄 ‘로봇기술’ 도입 박차…국내는?

  • 김혜진
  • 2025-07-08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