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뉴스=박지성 기자] 보건복지부가 금일 AI 복지·돌봄 혁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관련 기업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스란 제1차관 주재로 진행한 이번 간담회에는 AI 기반 식생활·운동 등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반려 로봇을 통한 돌봄·대화 서비스 제공, 와상환자 대상 배설 돌봄 로봇 개발 등 복지·돌봄 분야에서 AI·데이터·로봇 기술 접목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 관계자 13명이 참석해 기술 발전 동향, 규제개선 필요사항, 민관 협력 방안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공유했다.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인 AI 복지·돌봄 혁신 방향과 투자 계획에 대한 설명을 시작으로, 민간 기업에서 AI 서비스 개발 및 상용화를 하기 위한 정책 지원사항, 규제·제도 개선사항 등 현실적 건의사항을 청취했다.
또한, AI 기술로 복지 사각지대를 줄이고, 돌봄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 민간과 정부의 역할, 미래 청사진 등에 대해서도 폭넓은 논의를 진행했다.
보건복지부는 기업·현장·전문가와의 지속적인 소통과 논의를 바탕으로 내년 상반기 중 AI 복지·돌봄 혁신 로드맵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스란 제1차관은 “AI 복지·돌봄 혁신은 이미 현장에서 시작되고 있다”며 “AI를 활용해 따뜻한 미래를 만들어가는 기업들의 생생한 의견을 바탕으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AI 혁신을 이루어가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요양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