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장기요양학회 “노인돌봄에 ICT 기술 적용해야”
한국장기요양학회가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노인돌봄을 위해 ICT 기술을 적극 채용해야 한다는 분석을 내놨다. 의료적 필요도가 낮은 환자가 요양병원에 장기입원하는 사회현상을 막기 위해 돌봄 환경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26일 서울글로벌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한국장기요양학회 춘계학술대회' [사진=요양뉴스]
26일 서울글로벌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노인돌봄을 위한 미래 전략’을 주제로 ‘한국장기요양학회 춘계학술대회’가 개최됐다. 이번 학술대회는 2025년 초고령사회가 도래하면서 증가하는 노인 요양 수요를 감당할 환경 구축을 목적으로 마련됐다.
두 세션의 강의로 구성된 학술대회는 국립재활원 이민영 연구사가 발표자로 나서, 국내외 ICT 신기술을 융합한 노인장애인 건강돌봄 동향에 관해 설명했다. 이어 토론자들이 돌봄 현장 적용방안 등을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국립재활원 이민영 연구사 [사진=요양뉴스]
이민영 연구사는 “요즘 AI 돌봄로봇, 디지털치료제 등이 활성화되면서, 지역사회에 ICT를 결합한 돌봄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다”면서 “이제는 시범사업이 아니라 제도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기존 제도와 맞물려 이를 잘 활용할 수 있는 돌봄 인력도 배출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가 적용을 위해 선행돼야 하는 과제로는 “대상자의 필요성 체감”과 “돌봄인력 ICT 활용 교육”을 꼽았다. 일본의 경우, 개호보험 수가가 적용된 로봇복지용구가 2가지인데, 그마저도 이용률 30%로 선호도가 낮아 현장에서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토론자로 나선 대한작업치료사협회 이지은 회장은 “장기요양 등급체계 개편”을 주장했다. 현 등급체계가 일상생활 수행능력만 점검해 ‘못하는 일’만 확인한다는 것이다. ‘스스로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점검하는 방법으로 혁신해, 필요한 대상자에게 ICT를 활용한 맞춤형 돌봄을 제공하자는 이야기다.
이 밖에도 ICT 적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자칫하면 요양보호사의 업무 과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현 시범사업에서 사람이 그리운 일부 어르신들이 심지어 A/S 인력을 만나기 위해 AI 돌봄로봇을 부시는 행동을 하는 등의 애로사항이 발견된 까닭이다. 돌봄제공자가 어르신도 케어하고, 익숙지 않은 기기까지 다뤄야 해 도입까지 많은 고비가 남은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30년째 방문요양센터를 운영하는 김지영 시설장은 “방문요양 현장이 열악하다. 서비스 고도화를 논하지만,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도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 다양한 전문가가 모여 고민하는 시간을 가져 기쁘다. 이제 첫걸음을 뗀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