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돌봄기관과 종사자 처우 개선에 속도내나
[요양뉴스=박지성 기자]서울시가 장기요양기관의 돌봄 품질을 높이고, 종사자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한 ‘서울형 좋은돌봄 인증제’ 확대에 본격 착수했다. 특히 올해부터는 방문요양기관도 인증대상에 포함되며, 현장의 오랜 숙원이었던 중증 저소득 어르신 돌봄에 대한 2인 인력 배치 인건비 지원도 처음으로 도입됐다.종사자 인건비·복지포인트 확대… 장기근속 유도서울시는 좋은돌봄 인증기관에 운영보조금(기관별 1,600만~1억6,800만 원)과 함께 종사자 1인당 복지포인트 연 30만 원, 대체인력 투입일수 확대 등 실질적인 처우 개선 방안을 대폭 강화한다. 데이케어센터에는 야간 운영 인력비와 프로그램비 총 100만 원 인상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도 연간 12일에서 16일로 확대된다.노인요양시설과 안심돌봄가정에는 각기 최대 3,600만 원, 2,700만 원의 보조금이 지원되며, 돌봄인력 부담을 줄이기 위한 대체인력 운영 역시 함께 지원된다. 서울시는 이를 통해 종사자의 휴식권 보장과 장기근속 유도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서울형 좋은돌봄 인증 데이케어센터의 소그룹 작업치료 프로그램 [사진=서울시]방문요양기관 첫 인증 대상 포함… 돌봄 사각지대 해소 기대올해부터는 방문요양기관도 좋은돌봄 인증을 신청할 수 있게 됐다. 특히 2인 1조 돌봄이 필요한 중증 어르신에 대해선 월 최대 80시간까지 추가 인건비 지원이 가능하며, 야간‧휴일 돌봄과 같은 사각지대 지원도 월 최대 40시간 인건비가 지원된다. 선임 요양보호사에게는 인센티브도 추가로 제공된다.이로써 돌봄 인력의 과도한 업무 부담은 줄이고, 요양서비스의 질은 높이는 선순환 구조가 기대된다.4월 14일부터 인증기관 모집… 사전설명회도 개최서울형 좋은돌봄 인증기관 모집은 오는 4월 14일부터 25일까지 진행되며, 사전설명회는 4월 10일과 11일 양일간 열린다. 특히 방문요양기관에 대한 첫 인증 추진인 만큼 관련 평가 지표에 대한 상세 안내가 예정돼 있어 현장 관심이 높다.서울시 김덕환 돌봄복지과장은 “서울형 좋은돌봄 인증제는 서비스 수준을 끌어올리고, 이용자의 선택권을 높이기 위한 핵심 정책”이라며 “특히 방문요양기관의 참여 확대를 통해 돌봄사각지대 해소와 종사자 처우 개선이라는 두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겠다”고 밝혔다.서울시 인증기관 지원 내역 [그림=서울시]서울형 돌봄정책, ‘안심돌봄120’으로 연계 확대한편, 서울시는 ‘안심돌봄120’ 상담콜센터(☎1668-0120)를 통해 몸이 불편한 어르신과 장애인 등 돌봄이 필요한 시민에게 필요한 정보를 전화 한 통으로 안내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인증제 확대 역시 이러한 돌봄 정책과 연계해 서울시 돌봄서비스의 접근성과 품질 전반을 끌어올리는 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